[건설업] 일용직 사대보험 가입 노무비 관리 (feat. 국민건강보험EDI)

만두콩 입니다 🙂 건설업에서는 일용직 노동자의 사대보험 가입 노무비 관리가 정말 중요하고 어려운 업무 중 하나입니다. 예전 직장에서는 간단하게 해결했지만, 지금은 제가 하나부터 열까지 돌봐야 하는 상황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일용직 관리 업무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거든요! 2024년 4대 보험료율 만두콩 입니다 🙂 건설업에서는 일용직 노동자의 사대보험 가입 노무비 관리가 정말 중요하고 어려운 업무 중 하나입니다. 예전 직장에서는 간단하게 해결했지만, 지금은 제가 하나부터 열까지 돌봐야 하는 상황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일용직 관리 업무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거든요! 2024년 4대 보험료율

상용직과 달리 일용직 근로자의 사대보험 가입은 매우 복잡합니다. 상용직은 사대보험 의무 가입이지만 일용직은 가입 조건에 해당하는 사람만 가입하면 됩니다. 일용 노동자 4대보험 1. 국민연금 2.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3. 고용보험 4) 산재보험 상용직과 달리 일용직 근로자의 사대보험 가입은 매우 복잡합니다. 상용직은 사대보험 의무 가입이지만 일용직은 가입 조건에 해당하는 사람만 가입하면 됩니다. 일용 노동자 4대보험 1. 국민연금 2.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3. 고용보험 4) 산재보험

국민연금(요율:소득금액의 9%)은 노후생활 안정을 위해 필수로 가입하는 보험입니다. 근로자와 사업주가 4.5%씩 부담하며 퇴직 후 수령 조건에 따라 수령할 수 있습니다. 연령은 만 18세 이상/만 60 미만이며, 월 8일 이상 or 60시간 이상, 월 소득 220만원 이상인 경우 가입합니다. 건강보험(요율:소득금액의 7.09%)은 근로자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보험입니다. 병원에서 진찰을 받고 저렴한 병원비가 나오는 것은 건강 보험에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국민연금과 마찬가지로 근로자와 사업주가 3.545%씩 부담하며 월 8일 이상 또는 60시간 이상인 경우 가입합니다. 가입 조건에 맞지 않을 경우 지역가입자로 납부합니다. 장기요양보험(요율: 건강보험료의 12.95%)은 노인인구의 증가로 생긴 보험입니다. 자주 간병인 지원(방문) 등의 활동이 있습니다. 건강보험과 마찬가지로 근로자와 사업주가 6.475%씩 부담하며 월 8일 이상 또는 60시간 이상인 경우 가입합니다. 건강 보험과 장기 요양 보험은 세트라고 생각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고용보험(요율:소득금액의 1.80%)은 실직했을 때 경제적 보호를 위해 드는 보험입니다. 실업급여를 받기 위한 보험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근로자와 사업주가 0.9%씩 부담하며 만 65세 미만 무조건 가입입니다. 산재보험(요율: 업종별 상이/건설업: 3.56%)은 직장에서 발생하는 사고나 질병을 보장하는 근로시간과 관계없이 모든 근로자가 가입 대상입니다. 자격취득신고 / 자격상실신고 국민연금(요율:소득금액의 9%)은 노후생활의 안정을 위하여 필수로 가입하는 보험입니다. 근로자와 사업주가 4.5%씩 부담하며 퇴직 후 수령 조건에 따라 수령할 수 있습니다. 연령은 만 18세 이상/만 60 미만이며, 월 8일 이상 or 60시간 이상, 월 소득 220만원 이상인 경우 가입합니다. 건강보험(요율:소득금액의 7.09%)은 근로자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보험입니다. 병원에서 진찰을 받고 저렴한 병원비가 나오는 것은 건강 보험에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국민연금과 마찬가지로 근로자와 사업주가 3.545%씩 부담하며 월 8일 이상 또는 60시간 이상인 경우 가입합니다. 가입 조건에 맞지 않을 경우 지역가입자로 납부합니다. 장기요양보험(요율: 건강보험료의 12.95%)은 노인인구의 증가로 생긴 보험입니다. 자주 간병인 지원(방문) 등의 활동이 있습니다. 건강보험과 마찬가지로 근로자와 사업주가 6.475%씩 부담하며 월 8일 이상 또는 60시간 이상인 경우 가입합니다. 건강 보험과 장기 요양 보험은 세트라고 생각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고용보험(요율:소득금액의 1.80%)은 실직했을 때 경제적 보호를 위해 드는 보험입니다. 실업급여를 받기 위한 보험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근로자와 사업주가 0.9%씩 부담하며 만 65세 미만 무조건 가입입니다. 산재보험(요율: 업종별 상이/건설업: 3.56%)은 직장에서 발생하는 사고나 질병을 보장하는 근로시간과 관계없이 모든 근로자가 가입 대상입니다. 자격취득신고 / 자격상실신고

일용직근로자 국민건강보험 가입시 국민건강보험 EDI서비스 홈페이지 접속신고/제증명 바로가기 자격취득신고/자격상실신고 일용직근로자 국민건강보험 가입시 국민건강보험 EDI서비스 홈페이지 접속신고/제증명 바로가기 자격취득신고/자격상실신고

취득신고/상실신고를 핑크색으로 염색한 부분만 입력하고 상단신고(전송)/신청종료 건설업 고용산재는 연초 확정개산보험료로 납부하기 때문에 X상실신고로 보수총액근무월수를 입력하는 경우 취득신고한 시점부터 상실신고하기 전까지의 보수총액근무월수를 입력합니다. 취득신고/상실신고를 핑크색으로 염색한 부분만 입력하고 상단신고(전송)/신청종료 건설업 고용산재는 연초 확정개산보험료로 납부하기 때문에 X상실신고로 보수총액근무월수를 입력하는 경우 취득신고한 시점부터 상실신고하기 전까지의 보수총액근무월수를 입력합니다.

왼쪽 하단의 대상자등록 버튼을 입력하면서 한명씩 따로 하실 필요없이 동시에 진행 가능하세요!! 왼쪽 하단의 대상자등록 버튼을 입력하면서 한명씩 따로 하실 필요없이 동시에 진행 가능하세요!!

처리결과 확인방법을 신고했던 화면 상단 서식 닫기를 눌러 신고(전송)/신청에서 결과표시를 눌러주세요. 취득신고 당시 가입인원대로 처리한 결과 정상내역에 건강/연금 숫자 표시가 파란색으로 표시되면 정상 승인된 것입니다. 처리결과 확인방법을 신고했던 화면 상단 서식 닫기를 눌러 신고(전송)/신청에서 결과표시를 눌러주세요. 취득신고 당시 가입인원대로 처리한 결과 정상내역에 건강/연금 숫자 표시가 파란색으로 표시되면 정상 승인된 것입니다.

저는 취득신고를 하고 그 다음달이 돼서 노무비 명세서가 나왔을 때 해당이 안 되면 상실신고하고 해당이 되면 보수변경을 해줬는데요. 상실신고를 늦게 하면 국민연금이 그 다음달분까지 고지돼서 납부되거든요 이렇게 하면 이전에 취득신고한 명단을 기억하고 있어야 하니까 신경쓰여서 관리가 힘들었어요!! 경정청구가 된다고는 하지만 신경이 쓰이고 관리가 쉽지 않아서 일용직 관리는 매달 하기로 했습니다! 일용직 노동자들은 다음 달에 근무를 하는지 안 하는지, 근무를 해도 며칠 정도 일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국민보험, 건강보험 가입 요건에 맞는지 모르잖아요? 그래서 취득신고를 함과 동시에 상실신고를 해줍니다. 취득신고 즉시 상실신고를 할 때는 국민/건강가입이 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면 상실신고를 할 수 없으므로 공단의 승인이 된 후에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취득신고를 하고 그 다음달이 돼서 노무비 명세서가 나왔을 때 해당이 안 되면 상실신고하고 해당이 되면 보수변경을 해줬는데요. 상실신고를 늦게 하면 국민연금이 그 다음달분까지 고지돼서 납부되거든요 이렇게 하면 이전에 취득신고한 명단을 기억하고 있어야 하니까 신경쓰여서 관리가 힘들었어요!! 경정청구가 된다고는 하지만 신경이 쓰이고 관리가 쉽지 않아서 일용직 관리는 매달 하기로 했습니다! 일용직 노동자들은 다음 달에 근무를 하는지 안 하는지, 근무를 해도 며칠 정도 일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국민보험, 건강보험 가입 요건에 맞는지 모르잖아요? 그래서 취득신고를 함과 동시에 상실신고를 해줍니다. 취득신고 즉시 상실신고를 할 때는 국민/건강가입이 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면 상실신고를 할 수 없으므로 공단의 승인이 된 후에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건설업 일용직 노동자들의 사대보험 가입 업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저도 이 업무를 시작한 지 6개월밖에 안 돼서 처음에는 너무 어렵고 혼란스러워서 어떻게 관리를 해야 할지 막막했는데요. 계속 찾아보고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팀원들과 계속 이야기를 나누면서 하다 보니 이제 어느 정도 적응이 된 것 같아요. 앞으로는 근로 내용 확인 신고하는 방법까지 포스팅 해볼게요! 제가 참고로 공부하면서 글을 올렸는데 혹시 틀린 내용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모르는 내용이나 누락된 내용도 댓글을 남겨주세요 지금까지 건설업 일용직 노동자들의 사대보험 가입 업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저도 이 업무를 시작한 지 6개월밖에 안 돼서 처음에는 너무 어렵고 혼란스러워서 어떻게 관리를 해야 할지 막막했는데요. 계속 찾아보고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팀원들과 계속 이야기를 나누면서 하다 보니 이제 어느 정도 적응이 된 것 같아요. 앞으로는 근로 내용 확인 신고하는 방법까지 포스팅 해볼게요! 제가 참고로 공부하면서 글을 올렸는데 혹시 틀린 내용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모르는 내용이나 누락된 내용도 댓글을 남겨주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